[책 리뷰] 그림으로 배우는 도커
·
📕review/책
2024년 12월 영화 추천 시스템을 개발하면서 처음으로 도커를 사용해보았습니다. 프론트엔드부터 크롤러, 그리고 GPT 파인튜닝까지 하나의 모노레포로 관리하고 싶다는 욕심에, 도커를 접하게 되었지만, 사실 아무런 기반 지식 없이 시작했습니다.도커 이미지가 뭔지, 컨테이너가 뭔지도 모른 채 그저 명령어를 검색하고 따라치기에 급급했던 기억이 납니다. 저는 도커를 잘 모르는 것 치고는, 도커를 꽤나 좋아하는 편입니다. 어찌저찌 도커를 사용하여 모노레포 기반의 영화 추천 시스템을 완성할 수 있었고, 딱히 크게 고생한 기억도 없었거니와, 무엇보다 고래가 너무 귀여워서 좋아합니다. 그래도 이제는 제대로 알고 좋아해보자란 생각에 "그림으로 배우는 도커"를 선택해서 신청했고, 2분의 1확률을 뚫고 당첨되었습니다!🤩?..
[책 리뷰] 이지 러스트
·
📕review/책
대학에서 C와 C++로 몇 번 프로젝트를 해본 경험이 있긴 하지만, 3/4학년과 졸업 후엔 주로 웹 개발에 집중해왔습니다. 러스트(Rust)란 이름은 여러 기술 블로그나 개발자 커뮤니티에서 자주 보았고, 스택오버플로우에서 가장 사랑받는 언어로 몇 년째 1위를 차지했다는 것 정도로만 알고 있었습니다. 익숙한 이름이긴 하지만, 제가 관심 있는 분야와는 거리가 멀어, 딱히 배워볼 생각은 하지 않았습니다. 시스템 프로그래밍 언어, 메모리 안정성, 소유권 등등...이런 용어들은 제가 주로 다루는 자바스크립트와 리액트 등과는 꽤 동떨어진 느낌이었습니다. 그래서 러스트는 앞으로도 "이름만 아는 언어"일 뿐, 공부하게 될 것이라고는 전혀 생각 못했습니다. 그런데 한빛미디어 도서 서평단 활동을 하면서 신청한 책 2권 중..
[책 리뷰] 전문가를 위한 리액트
·
📕review/책
리액트는 현대 웹 개발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라이브러리 중 하나입니다. 하지만 리액트를 사용하면서도 표면적으로만 알고 사용하고 있다는 생각을 종종 했습니다. "프론트엔드 기술 중 가장 인기가 많다" 라는 이유로 리액트 공부를 시작했었는데, 이 책은 왜 리액트를 사용해야 하는지, 기존 웹 기술과 비교했을 때 어떤 차별점이 있는지 등 리액트를 깊게 이해하는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한빛미디어 서평단 활동을 위해 책을 협찬 받아 작성된 서평입니다. 💡개요전문가를 위한 리액트는, 왜 리액트인가. 이런 근본적인 질문에서 출발하여, 리액트의 핵심 개념과 내부 동작 방식을 깊이 있게 다룹니다. 기능 설명뿐만 아니라, 리액트가 등장하기 전의 웹 개발 패러다임과 비교하며 리액트의 강점을 코드 기반으로 설명..